청년도약계좌 소득인정액 계산, 헷갈렸던 부분 정리함
청년도약계좌 지원 조건은 알겠는데, 소득인정액 계산이 제일 헷갈림. 나이나 연봉은 명확한데 가구소득이라는 게 나와서 "이거 진짜 개인 소득만 보는 건지, 가족 소득까지 다 보는 건지" 하면서 착각하기 쉬움.
정부에서는 개인소득 + 가구소득 두 가지를 다 확인한다고 하는데, 실제 신청할 때 이 부분 때문에 조건 안 맞는 줄 알았던 사람들 진짜 많음. 나도 그랬고;;
소득인정액이 뭔지부터 정리
청년도약계좌에서 말하는 '소득인정액'은 사실 두 개로 나뉨:
1. 개인소득 기준
- 총급여액 7,5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 기준)
-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사업소득자 기준)
2. 가구소득 기준
- 중위소득 250% 이하 (2024년 3월부터 180%에서 상향)
여기서 진짜 헷갈리는 게 가구소득임. 개인소득은 내 급여만 보면 되는데, 가구소득은 가족 전체 소득을 합쳐서 계산해야 함.
2025년 가구소득 기준표 (중위소득 250%)
가구원 수 월 소득 기준 연 소득 기준
1인 가구 | 583만원 | 약 7,000만원 |
2인 가구 | 978만원 | 약 1억 1,700만원 |
3인 가구 | 1,258만원 | 약 1억 5,100만원 |
4인 가구 | 1,536만원 | 약 1억 8,400만원 |
*2025년 기준이며 정확한 금액은 보건복지부 고시 확인 필요
진짜 애매한 게 이 부분;;
"가구원 범위가 어디까지?"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함.
- 포함되는 사람: 같은 주민등록등본에 있는 부모, 배우자, 미성년 형제자매
- 포함 안 되는 사람: 성인 형제자매, 따로 사는 가족
부모님이랑 같이 살면서 부모님 소득이 높으면 탈락할 수 있다는 얘기임. 이거 때문에 조건 안 맞는 줄 알았던 사람들이 의외로 많았음.
"부모님 집에서 따로 살면?"
이건 진짜 헷갈렸던 부분인데, 주민등록상 같이 등재되어 있으면 가구원으로 봄. 실제로 따로 살아도 주민등록이 같으면 부모님 소득까지 합쳐서 계산함.
근데 독립해서 세대분리했으면 1인 가구로 인정받을 수 있어. 이 경우 본인 소득만 보니까 훨씬 유리해짐.
계산 예시로 확인해보자
예시 1: 1인 가구 (세대분리한 경우)
본인 연봉: 3,500만원 → 개인소득 조건: O (7,5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조건: O (1인 가구 기준 7,000만원 이하) → 결과: 조건 충족
예시 2: 부모님과 함께 사는 3인 가구
본인 연봉: 3,500만원 아버지 연봉: 6,000만원
어머니 연봉: 2,000만원 → 개인소득 조건: O (본인 기준 7,5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조건: ? (3,500+6,000+2,000 = 1억 1,500만원) → 3인 가구 기준 1억 5,100만원 이하이므로 조건 충족
예시 3: 부모 소득이 높은 경우
본인 연봉: 4,000만원 부모님 합산 연봉: 1억 2,000만원 → 개인소득 조건: O → 가구소득 조건: X (총 1억 6,000만원으로 3인 가구 기준 초과) → 결과: 조건 미충족
확인하거나 상담받을 수 있는 곳
1.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 URL: https://ylaccount.kinfa.or.kr
- 가입 자격 확인 서비스 제공
- 가구원 동의 절차 안내
2. 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
- 전화: 1397 → 바로 '3'번
- 운영시간: 영업일 오전 9시~오후 6시 30분
- 통화료 무료
3. 취급은행 앱에서 사전 확인
- 가입 신청 전에 조건 충족 여부 미리 확인 가능
- 11개 은행 앱에서 비대면 확인
이런 건 되는지/안 되는지 정리
되는 것들
- 군복무 중인 경우: 병역기간(최대 6년) 제외하고 나이 계산
- 육아휴직급여만 있는 경우: 소득구간 1(매칭비율 6%) 적용
- 부부 각자 가입: 개인별로 조건 충족하면 부부 모두 가입 가능
- 세대분리 후 1인 가구: 독립하면 본인 소득만으로 판단
안 되는 것들
- 소득이 전혀 없는 경우: 국세청 소득증명 불가능하면 가입 불가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둘 중 하나만 선택 가능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과거 3년 중 1회라도 해당되면 제외
진짜 헷갈렸던 실수 포인트들
1. "개인소득만 보는 줄 알았음"
가구소득 기준이 있다는 걸 놓치고 신청했다가 탈락한 케이스. 특히 부모님 소득이 높은 집 청년들이 많이 당함.
2. "중위소득 180%인 줄 알았는데 250%로 바뀜"
2024년 3월부터 기준이 완화됐는데 이걸 모르고 포기한 사람들 있음. 다시 확인해볼 만함.
3. "매년 소득 심사한다는 걸 몰랐음"
가입 후 1년마다 개인소득 확인해서 정부기여금 비율이 바뀔 수 있음. 승진하거나 연봉 올라도 계속 확인받아야 함.
청년도약계좌 조건이 생각보다 복잡하긴 한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두 가지만 제대로 확인하면 됨. 특히 가구소득 부분에서 헷갈리는 사람들 많으니까 미리 계산해보고 신청하는 게 좋을 듯.
궁금하면 콜센터에 전화해서 확인해보거나 은행 앱에서 사전 테스트해보는 것도 방법임. 월 70만원씩 5년 저축해서 5천만원 만들 수 있는 기회니까 조건 되면 꼭 신청해보길